후향적 연구를 하다보면 종종 성향 점수 매칭의 필요성을 느끼곤 합니다. 본 글에서는 R을 이용한 통계 분석에서 성향 점수 매칭을 하고 싶은 경우, 어떤 순서로 접근해야하는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성향 점수 매칭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임상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연구자의 편향 (bias)을 줄여,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무작위 대조 시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을 설계하면 이러한 우려를 줄일 수 있지만, 윤리적 이슈, 비용, 가능성 등의 이유 때문에 모든 연구를 RCT로 수행할 수는 없습니다.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 시 큰 단점은 치료군과 대조군을 나눌 때 편향(bias)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입니..